1. DA의 정의
-데이터 측면에서 기업 시스템을 처음부터 끝까지 조망하여 시스템의 본질인 데이터를 체계적, 구조적으로 관리하고 설계하는 전 과정
2. DA의 요건
-구조적 접근 가능:단계적으로 접근(하향식, 상향식)
-구체적 정의 가능:결과 및 진행 과정, 입체적 정밀 표현
-데이터적 표현 가능:데이터화를 통한 아키텍처 정의 내용의 리파지토리화
-시스템적 관리:아키텍처 수립 전 단계 지원
-전문가 집단에 의한 주도:데이터 전문적 취급 조직
가. DA 계층별 기본 개념 및 접근 전략
단계 | 주요 타스크 |
개괄적(Contextual) | 전사적 데이터 아키텍처의 최상위 모델 |
단계 | 최상위의 집합이 도출되고 필요에 따라 보다 세부적인 부분집합이 표현 |
관리할 속성들은 추상적이고 집단적인 형태로 정의 | |
개념적(Conceptual)단계 | 개괄적 모델을 좀더 상세화된 형태로 진화시켜 가거나 중요 엔터티만 선정하여 모델링 |
논리적(Logical) | 데이터 모델링이 최종적으로 완료된 상태 |
데이터 모델 | 모든 엔터티에 구체적인 부분집합과 속성 및 릴레이션쉽이 모두 정의되어 있는 단계 |
물리적(Physical) 단계 | 논리적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오브젝트(테이블, 뷰, 인덱스 등)를 설계하는 단계 |
논리적 모델을 특정 데이터베이스로 설계함으로써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인 스키마를 생성 | |
부가적 모델링 | Out-of-context Model |
보다 상세한 부가적인 사항들이 구체적으로 정의 | |
운용적 단계 | Product Model |
정의된 집합에 실제 데이터들이 들어와서 운용되고 관리 |
-기존의 시스템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데이터 아키텍처를 수립
-기존의 시스템을 전혀 감안할 필요가 없는 상태에서 새롭게 적용하는 경우로 구분
다.DA와 Data모델링 비교
구분 | 데이터 아키텍처 | 데이터 모델링 |
목적 | 전사차원의 데이터 표준화 | 단위시스템의 데이터 완전성 |
구축범위 | 전사차원의 데이터관리 체계구축 | 프로젝트 단위 데이터관리 |
적용범위 | 데이터의 정의, 모델링, 구축, 운영까지 포함 | 단위 시스템의 설계만 적용 |
목표 | 데이터의 생명주기관리 | 모델링 결과중심 |
구축절차 | 개괄적=>개념적=>논리적=>물리적=>운영 | 개념적=>논리적=>물리적 |
도메인구성 | 엔티티와 속성을 독립적으로 정의 | 엔티티결정 후 속성정의 |
3. DA활용분야
-전사적 아키텍처 수립기반:정보중에서 데이터 가능한 집합 정의
-DA를 이용한 정보전략 계획수립:전사적 관점에서 경영환경 분석 도츨 과정=>Biz,조직,데이터,프로세스 모델링
-ERP 도입시 활용:패키지 데이터 모델의 DA수립 통한 구체적 의미 명확
-DA 이용한 EDW구축:정보의 일관성,투명성위한 통합
-시스템 리모델링 위한 DA:현행 DA수립 통해 개선대책, 개선 부분, 개선 후 효과, 투입 정보의 구체적 제시
'기술 용어 검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정규화 (0) | 2007.12.08 |
---|---|
OLAP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0) | 2007.12.08 |
DB보안 (0) | 2007.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