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자일 썸네일형 리스트형 애자일 방법론, 방법론 테일러링 애자일 방법론도 어쩌면 개발방법론에 집중하기 보다는 개발에 집중하다 보니 나오게 된 방법론의 혁식적인 변화일 것이다. 애자일이라는 것은 민첩함 정도, 그렇다고 애자일 방법론을 민첩하게 개발하는 것 정도로 생각하고 해석하기에는 애자일이 가지는 의미는 매우 넓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제조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물론 PMP와 같은 프로젝트 관리 자격증은 건축에서 나왔다고 한다. 제조나 건축 무엇을 만드는 것에 대해서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도 관리가 필요하고 방법론이 필요하다는 측면으로 일맥상통한 면이 있을 것이다. Why? 애자일일까? 두가지 시대적 상황의 만남으로 보인다. 말그래로 민첩한 대응이 필요했다.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일 수도 있다. 바로바로 반영이 가능하다는 점. 자동차 생산관련해서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