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정의-IT Infrastructure Library
- 발전: ITIL1.0->BS15000->BS15000Certi->ISO20000
->ITIL2.0 ->ITIL3.0
- IT 서비스 관리 분야의 업계 표준으로, IT운영관리의 모범사례를 제공하는 프레임웤
- ITIL은 프로세스 정의를 지원하는 Best Practice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IT 관리를 수행
2. ITIL이 Best Practice를 사용하는 이유
- 검증된 품질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 IT 서비스를 제공받은 고객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 IT 투자 대 회수율을 극대화 하기 위해
- IT 운영 비용 절감을 위해
- 고객의 IT 서비스 요구사항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 IT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3. ITIL의 주요 활동
- 비즈니스를 대표하는 서비스 향상을 기여하는 활동
- IT 서비스 사용자 및 고객에게 조언 및 해결책 제공
- 정상적으로 서비스가 운영될 수 있도록 신속한 복구 활동 제공
- SLA에 정의된 목표값 달성을 위한 제반 활동
4. ITIL의 국내시장에서의 SWOT 분석
가. 강점
- 다양한 산업군별 BP 보유
- 전반적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지원
- 국내 SI, 아웃소싱업체 서비스 향상 전략 부합
- 국제적 인증 통한 대외 신인도 제고
나. 약점
- 규제가 아닌 사실 표준에 준함
- 획득비용 및 절차개선 필요
- 구현 전문가 및 산업군별 적응전략 부족
- 국내기업 초기 Data 부족에 따른 기준설정 난해
다. 기회
- 국내 대기업중심의 높은 관심도
- 국제인증 인지도 확신 및 자격증 보유자 확대
- 버젼 3 출시따른 시장 기대감 고조
라. 위협
- 해외 사이트 중심의 국내화 전략 필요
- 인증의 효용성과 지속성 문제제기
- IT의 또다른 trend로 치부하는 경향 일부 존재
- 초기 투자비용 부담
5.ITIL2.0과 ITIL3.0
-ITIL2.0은 서비스관리 분야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ITIL3.0은 서비스의 라이프 사이클에 대해 관심을 가짐
1)ITIL2.0과 3.0의 주요 차이점
-서비스 Strategy: IT 거버넌스와의 연계가능 인터페이스
-서비스 Improvement: 프로세스 지속적 성숙화 방안과 정량적 측정가능 모형 제시
-서비스 Design: 최근 IT 트렌드 반영
-서비스 Introduction: 프로세스 도입에 따른 변화부분 언급
-서비스 Operation: 실질적 서비스 운영 프로세스 부분과 개념적 it서비스 운영모델 제시
2)ITIL 3.0의 주요 구성내용
분야 | 목적 | 내용 |
Service Strategy | 전략적 의사결정 | it서비스 전략 수립방안 |
Service Improvement | 서비스 품질개선 및 측정 | ROI분석, 품질측정,경영요구와 포트폴리오 연계,SM Practice의 성숙과 성장, 측정결과 분석방법 |
Service Design | 서비스 설계,Blueprint | 정책, 아키텍쳐,서비스 모델, 측정지표, 아웃소싱, Shared서비스에 대한 전략적 의사결정 |
Service Operation | 안정적 서비스 운영 | End to End 서비스 운영 Practice, Incident,Problem관리 프로세스, soa,가상화 서비스 운영모델 |
Service Introduction | 변경 및 리스크관리, 품질보장 | 변경,Release,구성관리 프로세스, 리스크,품질보장 디자인, Transition 모델 선택 및 개발 |
'기술 용어 검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SLM (Service Level Management) (0) | 2007.12.12 |
---|---|
SCM (Supply Chain Management) (0) | 2007.12.12 |
TRM (Technical Reference Model) (0) | 2007.12.12 |